IT 지식/클라우드

<클라우드> 인프라 유형 용어 정리 1

창조적생각 2022. 1. 11. 15:15

1. On-Premise vs Public Cloud

엄밀히 말해서 On-premise와 Cloud는 반대말이 아닙니다.

Private Cloud는 On-premise와 비슷한 방식으로 구축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On-premise와 Public Cloud를 비교하는 형식으로 우선 알아봅니다.

 

1) On-Premise

아이콘 제작자 Nikita Golubev from www.flaticon.com

  (1) 간단히 말해 기업 자체가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것을 말합니다.

      클라우드가 대두되기 이전 기존에 가장 많이 사용되던 방식입니다. 

      기업이 자체 데이터센터를 보유하고,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를 구축하고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방식입니다.

      그렇기에 기업에서 물리시스템을 구축하고 데이터센터를 관리하며 운영을 직접합니다.

 

2) Public Cloud

아이콘 제작자 Alfredo Hernandez from www.flaticon.com

 (1) 클라우드와 관련된 인프라를 Cloud Service Provider(CSP)에서 구축하고 운영,관리합니다.

       이미 데이터센터가 만들어져 있기에 필요한 리소스를 바로 생성하고 이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센터 운영 및 관리를 CSP가 맡기 때문에 서비스에만 집중할 수 있습니다.

 

2. Private Cloud VS Public Cloud

네이버 클라우드 센터 

클라우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서비스 대상, 인프라의 위치와 운영을 기준으로 Private와 Public을 나눌 수 있습니다.

기업 내에서 구축하여 한정된 그룹만이 접근하며 자체적으로 운영 관리하는 클라우드를 private,

CSP 데이터센터의 클라우드를 사용하며 더 넓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접근을 허용하는 클라우드를 Public 클라우드라고 합니다.

 

구분 Private Cloud Public Cloud
서비스 대상 한정된 그룹 불특정 다수
인프라 위치 자체 데이터센터 CSP 데이터센터
인프라 운영 자체적 CSP
장점 기업이 원하는 대로 구축 및 운영이 가능하다
많은 제어 권한과 우수한 보안성
예상 가능한 트래픽 변동에 적합
초기 구축비용이 저렴
인프라 환경 운영에 대한 부담 X
CSP가 제공하는 상품들로 빠른 개발 용이
예상치 못한 트래픽 폭주에 유연하게 대처 가능

 

3.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VS 멀티 클라우드

 (1)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Public Cloud와 Private Cloud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입니다.

 

 (2) 멀티 클라우드 

 멀티 클라우드는 Public Cloud 사용시 예를 들어 하나는 아마존을 사용하고 하나는 마이크로소프트를 사용하는 등 CSP를 여러개 사용하는 것입니다.

728x90